담배에 중독되는 이유가 여러가지 있겠으나 유전적인 이유와 니코틴이 주가 되고, 기타 소소한 것들이 있다. 나처럼 수없이 금연에 실패했던 사람은 결국 (유전적인 이유로) 담배를 끊기 힘들다. 그렇다면 방법은 니코틴을 보다 안전한 방법으로, 그리고 가급적 담배를 태워서 연기를 들이마신다는 행위에 가까운 대안을 찾아야할 것이다.
니코틴 패치나 껌같은 금연보조제는 혈중 니코틴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지만 그뿐이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일정한 양의 니코틴이 아니라 흡입과 동시에 많은 양이 빠르게 뇌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담배를 불로 태우는데 문제는 이 과정에서 타르 등의 발암물질이 함께 들어올 뿐만 아니라 분진이나 기타 화학물질이 폐로 들어가게 되어 폐기능에 장애가 생긴다는 것. 기왕에 끊을 수 없다면 그나마 안전한 방법을 찾겠다는 시도로 나온 것이 위의 사진에서와 같은 액상형 전자담배다.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처음 개발된 시기가 2003년이라는데 (중국에서 처음 출시함) 비슷한 시기에 나도 기기와 니코틴을 구해서 시도해본 적이 있었다. 담뱃잎에서 추출한 니코틴을 베이스라 불리는 액체에 혼합해서 고열로 액화시켜 들이마신다는 개념인데 베이스는 PG (propylene glycol)과 VG (vegetable glycerin)이 적당한 비율로 섞인 것이다. 여기에 맛을 위한 향료를 첨가한다. 베이스가 필요한 이유는 그냥 니코틴 기체는 아무런 자극도 형체도 없기 때문에 수증기를 만들어내고 (VG의 역할), 기체가 목을 넘어갈 때의 타격감 (PG의 역할)을 만들어내려는 목적이다.
위에서 니코틴 말고도 담배에 중독되는 소소한 이유가 더 있다고 했는데 바로 독한 연기를 빨아들였다가 내뱉는 행위를 패치나 니코틴껌은 대체해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 역할을 PG와 VG가 혼합된 베이스가 흉내내준다. 그런데 액상 니코틴의 문제는, 위의 그래프에서 "Typical E-vapour"로 표시된 것처럼 고농도의 니코틴 흡수가 여전히 어렵다는 것에 있다. 니코틴 농도를 무작정 높이면 너무 독해서 피울 수가 없는 것이다. 대신에 니코틴을 가공하여 산도를 조절하면 (pH를 낮추면) 느낌이 달라지게 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은 필립모리스가 60년대에 개발하여 말보로 담배에 처음 적용했던 것으로 이 회사가 담배시장을 장악하는 계기가 된다.
아무튼 일반적인 니코틴 액상을 기화시켜서 들이마시는 식의 전자담배는 연초를 완전히 대체하기에 역부족이었다. 그리고 (솔트 니코틴을 적용한) juul이 나왔다.
니코틴 패치나 껌같은 금연보조제는 혈중 니코틴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지만 그뿐이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일정한 양의 니코틴이 아니라 흡입과 동시에 많은 양이 빠르게 뇌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담배를 불로 태우는데 문제는 이 과정에서 타르 등의 발암물질이 함께 들어올 뿐만 아니라 분진이나 기타 화학물질이 폐로 들어가게 되어 폐기능에 장애가 생긴다는 것. 기왕에 끊을 수 없다면 그나마 안전한 방법을 찾겠다는 시도로 나온 것이 위의 사진에서와 같은 액상형 전자담배다.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처음 개발된 시기가 2003년이라는데 (중국에서 처음 출시함) 비슷한 시기에 나도 기기와 니코틴을 구해서 시도해본 적이 있었다. 담뱃잎에서 추출한 니코틴을 베이스라 불리는 액체에 혼합해서 고열로 액화시켜 들이마신다는 개념인데 베이스는 PG (propylene glycol)과 VG (vegetable glycerin)이 적당한 비율로 섞인 것이다. 여기에 맛을 위한 향료를 첨가한다. 베이스가 필요한 이유는 그냥 니코틴 기체는 아무런 자극도 형체도 없기 때문에 수증기를 만들어내고 (VG의 역할), 기체가 목을 넘어갈 때의 타격감 (PG의 역할)을 만들어내려는 목적이다.
위에서 니코틴 말고도 담배에 중독되는 소소한 이유가 더 있다고 했는데 바로 독한 연기를 빨아들였다가 내뱉는 행위를 패치나 니코틴껌은 대체해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 역할을 PG와 VG가 혼합된 베이스가 흉내내준다. 그런데 액상 니코틴의 문제는, 위의 그래프에서 "Typical E-vapour"로 표시된 것처럼 고농도의 니코틴 흡수가 여전히 어렵다는 것에 있다. 니코틴 농도를 무작정 높이면 너무 독해서 피울 수가 없는 것이다. 대신에 니코틴을 가공하여 산도를 조절하면 (pH를 낮추면) 느낌이 달라지게 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은 필립모리스가 60년대에 개발하여 말보로 담배에 처음 적용했던 것으로 이 회사가 담배시장을 장악하는 계기가 된다.
아무튼 일반적인 니코틴 액상을 기화시켜서 들이마시는 식의 전자담배는 연초를 완전히 대체하기에 역부족이었다. 그리고 (솔트 니코틴을 적용한) juul이 나왔다.
WRITTEN BY
,